카테고리 없음

삼익악기

이지밸류 2014. 3. 24. 22:55

챠트 강의 시간입니다.

제가 챠트에서 중점적으로 보는 것은 거래량과 정배열, 직전 고점 돌파 여부, 돌파후의 흐름 등입니다.


삼익악기를 보면서 전고점 돌파시 매매하는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2013년 4월 그래프입니다.

외국인 매수가 유입되면서 기나긴 주가 횡보가 끝나는 모습입니다.

일목균형표 구름층 위로 주가가 올라사며 추세 상승이 시작되었습니다.

4월초에 첫번째 동그라미에서 직전 고점을 넘어섰고 4월 중순 2번째 동그라미에서 4월 초의 고점마져 넘겼습니다.


둘다 봉의 모습으로 보면 직전 고점을 넘어선만큼 매수입니다.

하지만 이보다 중요한 것은 거래량입니다.

거래량이 실리지 않은 상태로 오르는 모습입니다.

거래가 없다는 것은 매물 소화, 즉 팔 사람이 안 팔았다는 애기입니다.

거래가 증가한다는 것은 팔 사람들이 대량으로 던지는 물량을 누군가 받아갔다간 의미입니다.

거래가 실리면서 고점을 넘겨야 매물이 소화되는 것입니다.

삼익악기는 아쉽게도 거래가 크게 늘지 못했습니다.



그 후 주가는 약간의 상승세를 보였지만(단타로는 충분히 수익은 가능) 결국 중기 상승 흐름은 이어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첫번째 동그라미 친 양봉의 절반을 5월초에 그려진 두번째 동그라미 친 음봉으로 깨버린 모습입니다.


부족했던 거래에 의한 상승으로 매물 소화가 안 된 가운데 고점을 돌파한 양봉의 절반을 깨면서 추세가 꺾인 모습입니다.

그후 주가가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네요.

전형적인 고점 돌파 실패 사례입니다.

물론 단타하신분들은 5%정도는 먹고 나왔겠지만요.



자, 이제 2013년 11월로 갑시다.

이때는 전고점을 돌파하는 장대양봉에서 대량거래가 분출됩니다.

문제는 3일후입니다.

두번째 동그라미를 잘 보시기 바랍니다.

음봉에 대량거래가 나오면서 3일전 돌파한 양봉의 절반을 깨버립니다.

물론 그후 단기 상승이 바로 나오면서 조금 오르는 모습을 보였지만 다시 힘이 빠지는 모습입니다.



그후 주가는 2014년 2월말까지 흘러내리는 모습입니다.

그런데 3월에 큰 변화가 생깁니다.


1번 동그라미에서 장대양봉 대량거래에 전고점을 돌파합니다.

당연히 매수죠.(일목균형표상 구름층 아래이므로 조금만 사봅니다.)

2번 동그라미에서 구름층을 넘고 전고점을 넘고 대량거래가 나옵니다.

그날 종가나 다음날 조정시 적극 매수합니다.

3번 동그라미에서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엄청난 거래가 나옵니다.

당연히 매수입니다. 

조금 부담은 되므로 3번 동그라미 친 다음날 음봉에 사는 것도 좋습니다.


결국 주가는 추가 급등이 나옵니다.

1,2,3번 동그라미 어디서 사든 무조건 수익이네요.



전고점 돌파는 매수!

대량거래 나오는지 필히 체크!

양봉의 절반을 깨는지 체크!


급등주 매매, 쉽지는 않지만 원칙만 지킨다면(물론 이게 젤 힘들지만)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종목으로 설명해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