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원고

MTN 원고

이지밸류 2016. 11. 4. 11:30

이슈1. D-4, 미 대선 주간이 온다 


앵커 대선일정 체크)

☞ 한국시간 11/8(화) 오전 2시부터 11/9(수) 오후 3시까지 투표 진행

☞ 총선거인단 538명, 당선에 필요한 숫자 270표

☞ 상․하원(각 34석, 435석) 선거도 실시

   (동부~알래스카 투표 종료까지 25시간 소요)

-12/19 선거인단 대통령 선출

-2017/1/20 대통령 취임


1) 클린턴 지지율 회복했지만, 결과 확인전까진 관망심리의 극대화가 불가피해보이고, 결과에 따라 또 시장흐름이 엇갈릴텐데, 미 대선 변수에 대한 시각은?


- 힐러리 당선시 : 글로벌 증시 안도랠리, 정책 연속성 기대

- 트럼프 당선시 : 글로벌 증시 충격 불가피(지지율 격차 작아서 당선 확인 필요. / 트럼프는 FED불신. 금리인상 반대, 정책불확실성)


2) 옵션만기주로서 수급 환경도 미국 대선결과에 연동하는 형태로 전개될 수 밖에 없을까. 시장 변동성 극대화되는 건 아닐지.


- 10월말부터 변동성 확대는 이미 진행 중


- 트럼프 당선 시 추가 변동성 확대   



3) 관련주 분주한 업계. 이분법적 수혜주 찾기 쉽진 않은데, 교집합은 없나. 

관심가져볼만한 종목좀 있을까.


- 힐러리 :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수혜 / 제약주는 피해


- 트럼프 : 방위산업관련주 및 경기민감주 수혜 



이슈2. ‘대선테마주’만 보인다, 포트전략은. 


1) 흔들리는 시장, 수익률 제고 위한 포트폴리오 전략과 관심주는?


- 3분기 실적 호전주 중 기관 순매수 유입 종목 관심


- 투자유망업종 : 반도체, OLED, 은행, 철강


- 관심종목 : 주성엔지니어링(3분기 실적 호조, 4분기 본격 호전. 중화권 업체들 투자, LGDOLED 투자)



2) 코스닥은 600선은 지킬까, 우려감(미 대선+금리인상 등)과 기대감(연기금) 공존하고는 있는데. 이젠 살 때인가, 아님 더 기다릴때인가. 


- 코스닥 단기 비중 확대 전략 필요


- 기술적 반등시 630~640선까지는 상승 전망



2-2) 관련해 오늘아침 이채원 부사장과의 인터뷰에서.. 

"대형주 가치주 상승 사이클 이어져""중소형 성장주 조정에 가치주 동반 하락해"

"이제는 중소형 가치주 반등에 대비해야"동의하시는지, 동의하신다면 중소형 가치주 어떤 방법으로 고르고, 대표적으로 좋게 보시는 종목 뭐가 있는지


- 중소형 가치주 반등 가능


- 시가총액 1조원 이하, PBR 1배미만 기업 중 실적 호전주 선별


- 관심종목 : 두산엔진, JB금융지주(10000원, 3000원 / 14000원, 5000원)



<기타 산업기업 소식 간략히씩 코멘트>  


오늘 파리기후협약 발효(해묵은 재료지만 신재생에너지주 장기관심 유효?)


- 재료는 선반영, 향후 기업별 차별화 불가피.(풍력관심)


‘광군제(11일) 특수 잡아라’ 관련 업계 분주 (유통 및 중국소비주에 대한 시각은?)


- 중국 소비관련주 영향 제한적. 지난해 국내제품 1위는 미용제품. 비비크림. 화장품주 가격 매력있어서 모멘텀 기대되나 코스닥 시장 흐름이 더 중요. 국내 유통업체들 반짝 매출 호전 기대되나 내수 침체로 역시 영향 제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