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 버핏의 쉬운 주식 투자!

MTN원고

방송원고 2016. 9. 30. 11:25

>>> 마감 전 Q&A (오후 2시 7분~)


1> 한미약품 쇼크. 한미약품 비롯해 여타 제약/바이오주에 대한 시각 어떻게 가져가야하나. 미 대선 이슈도 맞물려 있다.


- 한미약품 쇼크... 신약 개발 기업 주가에 부정적 영향 불가피


- 제약업종 보수적 대응 필요


- 베링거 인겔하임, 폐암치료제 HM61713(올무티닙, 글로벌 2상, 국내 허가) 관련 계약 파기 공시  베링거는 올무티닙 관련 새로운 임상을 진행하지 않으며, 대신 계약금 $50mn 및 마일스톤 $15mn은 반환하지 않기로 함 - 계약금 $50mn, 마일스톤 $680mn, 두 자리수 로열티 별도 계약이었음 - 베링거는 올무티닙 임상 데이터 재평가 및 폐암 혁신치료제 최근 동향 등을 고려한 결과라고. 베링거는 지난 6/7 글로벌 3상을 올해 시작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었음 - 본래 3세대 EGFR 저해제 중 경쟁약물 대비 효능이 우수하지 않았으며, 최근 폐암에 대해 Keytruda 등 혁신적인 면역항암제가 1차 치료제로 허가 예정이기 때문으로 보임 동사에 대한 루머 및 우려가 현실화되어,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 예상


2> 도이체방크 문제로 시끄럽다. 일각에선 파산얘기까지 나오는데 관련해 위기 확산 가능성은 없나. 리먼 브라더스가 떠오르기도 한다.


- 과징금 140억달러 부과... 추가 자금조달 필요


- 불확실성 지속 부담되나 위기 전이 가능성은 낮아(유럽은행 -금리로 수익성 악화 지속, 메르켈 내년 대선)


자산 1조 9천억짜리 유럽 4번째 은행. 자산의 상당부분이 파생상품. 리먼 사태일으킨 비즈니스 모델. IMF는 이미 도이제방크 위험한 은행으로 거론. 독일정부 지원가능성 낮아. 해묵은 이슈이나 해결에 미온적이라 불안감 지속. 다만 골드만삭스, JP모건도 실제보다 낮은 금액에 합의. 정부가 나설 것. 위험하면. 

다만 과거 여러 사례를 볼 때 잡음이 지속되다가 결국 정부가 도와줄 것. 도이치방크 문제는 도이치방크 개별 이슈임. 리먼 사태와 비교해서는 안돼.

 


3> 유가는 또 올랐다. 다만 50달러선 안착은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들도 많은데, 우리시장엔 어떤 변수로 작용할까?


- OPEC 합의 긍정적이나 실제 감산 여부는 불투명


- 유가 하방경직성 확보... 완만한 상승 전망


- 원자재 관련주 조정시 비중확대



4> 10월장의 핵심 키워드는 '정치적 불확실성'? 미국은 물론 각국의 일정으로 인해 시장 변동성이 커질거란 우려도 있는데? 


- 미국대선, 헝가리 난민할당제 국민투표 불확실성 부담(체코 상원의원 선거. 국민투표의 배경은 EU가 독일 주도로 난민 16만명의 분산 배치 계획을 받아들이지 않는 회원국들에게는 벌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데 있음 이에 대해 헝가리,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등이 반대 중. EU는 12월 헝가리에 대한 제재 방안을 강구 중이며, 헝가리의 EU탈퇴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는 상황 )


- 정치적 변수는 변동성 확대보다는 상승 제한 요인



5> 다음주 삼전의 잠정실적발표가 예정. 어닝시즌이기도 한 10월장 포트폴리오 전략은 어떻게 가져가면 되나, 실적 관심주도 하나 소개해달라.


- 10월 6일 혹은 7일 삼성전자 3분기 실적 발표


- 경기민감주 및 중소형 실적주 중심 비중 확대


- 관심종목 : NICE평가정보


6> 다음주 내내 쉬는 중국선 1일 주요 실물지표가 발표된다, 또한 유커가 얼마나 유입될지에 대한 관심도 이어질텐데 어떨까. 


- 중국 국경절 시작... 중국 소비주 매출 증가 기대


- 10월 1일 중국 위안화 IMF SDR 편입


- 10월 3일 중국 PMI지수 발표 


'방송원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TN원고  (0) 2016.10.07
이데일리원고  (0) 2016.10.05
이데일리원고  (0) 2016.09.28
이데일리원고  (0) 2016.09.28
이데일리원고  (0) 2016.09.28
Posted by 이지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