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 버핏의 쉬운 주식 투자!

전기전자 - 하반기는 거들떠보자(동부증권)


Investment Points

최악의 2Q15에서 Bottom Out!: 기억하기 싫은 IT업체의 2Q15 실적 발표가 끝났다. 2Q15내내 컨센서스가 하향 조정되며 낮아진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정도의 실적이었고 일부 종목은 Earnings Shock을 기록했다. 드라마틱한 반전은 없지만 그래도 3Q15 실적은 개선되는 모습이 기대된다. Base effect와 환율 효과도 있지만 주문 증가와 제품믹스가 개선되는 TV, 삼성전자, LG전자, 애플 등의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윈도우10 OS, Skylake 프로세서 등 PC 업그레이드 수요 발생 등 전방산업 상황이 상반기 대비 낫다. 큰 기대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 이런 환경에서 대형 IT주 대부분은 3Q15에 최소한 플랫 내지우상향 영업이익 추세가 가능할 것이다. LG이노텍, 삼성전기는 3Q15 영업이익이 2Q15 대비 크게 증가할 업체이다.


아무리 어렵더라도 IT의 계절성은 무시할 수 없다: 지난 5년간 대형 IT업체들의 기간별 수익률을 보면 9~11월이 가장 좋았다. IT업종이 힘들었던 11년에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9~11월이 IT 산업의 최대 성수기로 가동률과 실적 개선이 가장 눈에 띄는 시기기 때문이다.


신모델 출시도 몰려 있고 원달러 환율도 우호적이다. 2Q15에 원달러 평균 환율은 1,097원이었는데 3Q15 들어서 현재까지 평균환율은 1,149원으로 환율에 따른 부수적인 개선효과도 기대된다. 환율 민감도가 높은 기업은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삼성전기 등이다. 이런 와중에 Valuation과 수급을 보면 IT는 조그만 뉴스에도 위로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Action

거둘 종목과 버릴 종목을 구분해야: 1) 최악의 2Q15에서 Bottom out, 2) 어김없이 나타나는 하반기 IT 계절성, 3) 텅텅 비어 있는 수급, 4) 역사적 최저 Valuation을 감안할 때 지금은 IT 종목을 거들떠 볼 때이다. 대신 거둘 종목과 버릴 종목을 구분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거둘 종목은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삼성전기 등이며 삼성전자는 과매도 단계로 보인다.


LG이노텍은 상기 4가지 조건 외에 차량부품의 성장성까지 가해져 2Q15 실적 부진에 따른 ‘분노의 매도’가 마무리되면 가장 빠른 반등이 기대된다. LG디스플레이는 TV재고가 6월에 정점을 찍었고, IT용 패널 가격 하락세가 이미 8월부터 둔화되고 있으며, TV용도 32인치를 제외한 대형인치 하락률도 점차 둔화될 것으로 보여 주가의 마지노선을 지켜낼 것이다. 현재 주가는 하반기 영업이익 반토막을 가정한 최악의 주가이기 때문에 이게 아니라는 것이 입증만 된다면 역사적 최저 Valuation은 큰 무기가 될 수 있다. 삼성전기는 적절한 시점에 구조 조정을 했다고 보고 있으며 MLCC는 제 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3Q15 영업이익 컨센서스도 오를 여지가 많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2Q15 수준에만 맞춰진다면 120만원 미만의 현재 주가는 큰 부담이 없어 보인다.


Posted by 이지밸류

삼성전자 독주 시대 - 신한금융투자


투자의견 ‘비중확대’, 탑픽: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경기 침체로 글로벌 IT 수요가 부진하다. 연말까지 범용PC용 DRAM 가격 약세는 불가피하다. 아이폰6S와 갤럭시노트5에 탑재 예정인 LPDDR4와 SSD용 TLC 3D NAND 대중화가 본격화되고 있어 반도체 산업에 대해 ‘비중확대’를 제시한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탑픽이다. 삼성전자 밸류에이션은 2008년 금융위기와 유사한 2015F PBR 1.2배로 가장 매력적이다. 미세공정 반도체 지속적인 투자로 OCI머티리얼즈/이오테크닉스/디엔에프/테스도 탑픽으로 제시한다. 원익IPS, 한미반도체는 관심 종목으로 제시한다.



선제적인 투자로 한국 반도체 경쟁 우위 확보


2015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투자 금액은 각각 14.4조원, 6조원으로 예상되며, 향후 5년간 양사의 누적 투자금액은 80조원 이상으로 전망된다. 중국 기업의 메모리 반도체 사업 진출이 한국 메모리 반도체에 위협이 될 가능성은 없다. 미국은 중국 통신장비 수입 규제 등 전략 산업에 대한 자국 보호전략으로 중국 기업의 마이크론 인수를 승인할 가능성이 없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차세대 메모리 사업에 선제적 투자를 통해 경쟁 우위를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독주 체제 구축


사물 인터넷 및 빅데이타 대중화로 DDR4 및 SSD용 3D NAND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삼성전자는 2014년 DRAM 20nm에서 DDR4와 3D NAND를 세계 최초로 양산하면서 경쟁업체를 압도하고 있다. 모바일, 서버 DRAM에서 삼성전자 시장점유율은 각각 53.8%,46.9%를 기록했다. eMCP(컨트롤러 칩, 모바일 DRAM, NAND 합쳐진 멀티칩), ePOP(AP위에 쌓아올린 메모리 반도체 패키지) 등 융복합 반도체 사업 확대를 통해서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다. 2015년 반도체 다운사이클이 삼성전자에게 기회이다.



Posted by 이지밸류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OLED 수율 개선 중 - 신한금융투자


주말 갤럭시S6 엣지 판매량 2배 증가


1분기 한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28.3% YoY 감소했으며, 2분기에도

마이너스 성장이 지속되었다. 7월 17일 갤럭시S6 엣지 출고가가 10만원~11만

원 인하되면서 소비자들이 50만원대에 구매가 가능해졌다. 주말 이틀 동안 갤

럭시S6 엣지 판매량이 종전 대비 1.7~2배 증가했다고 보도되었다.



삼성디스플레이 플렉서블 OLED 라인 수율 개선


삼성디스플레이는 신규 A3 라인 수율 이슈로 플렉서블 OLED 패널를 원할하

게 생산하지 못했다. 플렉서블 OLED 패널 단가 상승과 공급 차질로 갤럭시S6

엣지 공급이 시장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다.


최근 A3 라인의 플렉서블 OLED 라인 수율이 개선되면서 플렉서블 OLED 패

널 생산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인해 갤럭시S6 엣지 출고 가격이 인

하되었고, 국내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갤럭시노트5 기대감


3분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노트5용 디스플레이도 듀얼 엣지 플렉서블 OLED 가

능성이 높다. 듀얼 엣지 플렉서블 OLED 패널 공급 증가와 단가 인하로 갤럭시

노트5의 판매 및 원가경쟁력이 갤럭시S6 엣지 대비 강화될 전망이다. 갤럭시

노트5 판매량이 갤럭시 노트4를 추월할 전망이다.



Top Picks: 삼성전자, 에스에프에이


2분기 삼성전자 IM 사업부 영업이익은 당초 기대치를 하회한 2조 9,080억원

으로 예상한다. 3분기, 4분기 지속적인 감액으로 추정하고 있다. 플렉서블

OLED 수율 향상으로 삼성전자 프리미엄급 스마트폰 원가 경쟁력이 개선된다

는 점은 긍정적이다. 원 약세 및 메모리 반도체 시장 지배력 강화도 호재이다.

삼성전자에 대해 목표주가 170만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 라인 생산 능력 확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에스

에프에이에 대해 목표주가 6만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에스에프에이는

워크아웃 중인 STS반도체를 총 1,33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STS반도

체는 영업상의 이유가 아닌 부실 계열사 때문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STS반도

체의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 사업 실적은 개선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이

라고 판단된다.


Posted by 이지밸류

삼성에스디에스와 삼성전자 합병 안한다는 뉴스가 전일 떴습니다.

워낙 말들이 많다보니 일단 삼성에서는 부인했습니다.


사실 제일모직, 삼성물산도 합병안하다고 흘리더니 결국 해버렸죠..

삼성에스디에스와 삼성전자 합병설도 사실 하나의 소설입니다.

실제로 합병하고 안하고는 이재용 부회장이 결정할 문제지 다른 사람들이 결정할 수는 없죠.


근데 이재용 부회장 입장에서 잘 생각을 해보세요.

삼성전자 지분이 부족해서 일단 제일모직, 삼성물산 합병으로 4%넘는 지분을 확보했습니다.


여기에 삼성에스디에스 지분을 상당수 갖고 있는데 이걸 활용해 삼성전자 지분을 가져가면 너무 좋은거죠.

상속세를 내고 아버지 지분을 받는거보다는 요.


그래서 삼성에스디에스를 삼성전자와 합병시키는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일단 부인했지만 가능성은 아직 있습니다.

올해는 하지 않겠지만 내년에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합병을 안하더라도 일단 삼성에스디에스 주가가 올라야 좋습니다.

이재용씨가 지분을 팔고 나가더라도 높을때 파는게 손에 쥐는게 많아지겠죠.


이재용씨가 많은 지분을 갖고 있는 삼성에스디에스..

합병부인으로 당분간 주가 조정이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할 수 밖에 없다고 보여집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삼성전자가 평택에 세계 최대 반도체 산업단지 착공식을 진행했습니다.

평택라인은 화성사업장의 2배 규모로 기흥과 화성을 합친 것과 비슷한 규모입니다.


평택공장에는 신규로 12개 이상의 라인이 건설될 것으로 보여지는데 완공시 반도체 매출만 90조원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평택을 기반으로 삼성전자는 디램, 3D 낸드, 시스템 반도체 삼각편대로 인텔을 넘어서는 최대 반도체 기업이 될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장비 발주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반도체 장비주에게 호재라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중국 시안공장의 지속적인 투자, 화성라인 증설, 거기에 평택공장 착공까지...


반도체 장비회사들은 앞날이 창창하네요.

원익 IPS, 테스, 제우스가 최대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에 장비주는 아니지만 후공정 업체인 하나마이크론도 반도체 생산 증가로 후공정에서 상당한 물량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도체 관련주, 조정시 비중확대 전략입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삼성전자가 중국 시안 공장에 대해 6조원대 추가 투자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언론에 따르면 시안 공장의 7조원대 1차 투자계획은 올하반기에 완료가 되고 2차 투자 6조원이 추가로 이루어 질 것이라고 합니다.


예상보다 빠른 투자 결정으로 보여집니다.

중국 시안 공장은 3D V낸드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삼성의 낸드플래시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린 1등공신입니다.


SSD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경쟁사인 마이크론, 도시바 까지도 V낸드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데 경쟁사를 물량으로 더 압도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여집니다.


이렇게 되면 반도체 장비주가 역시 큰 수혜를 입을듯 합니다.

3D 낸드플래시 수혜 기업은 원익IPS, 테스에 긍정적입니다.

최근 주가가 바닥에서 탈출한 반도체 장비주, 이제는 긍정적 시각을 가져도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삼성전자 주가가 조금 주춤 거리고 있습니다.

150만원 돌파후 다시 쉬어가는 모습인데요.


갤럭시S6 발표이후 호평을 받으며 5600만대 판매를 예상하는 모습입니다.

전작인 갤럭시 S5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인데 애플 아이폰 판매량 정도를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갤럭시S6)


일단 확인하자는 심리 같습니다.

최근 갤럭시 관련해서 주가에 기대감이 너무 크게 반영되었습니다.

2분기 실적 호전까지 미리 땡겨서 반영을 해 버린거죠.


150만원 돌파후 랠리는 갤럭시S6 판매량이 결정합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부문 이익이 개선되고 있지만 역시 비중이 가장 큰 스마트폰 사업부의 실적 상승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5600만대 돌파는 저는 개인적으로 어렵다고 보여집니다.

이미 스마트폰은 애플의 독주속에 중국 업체들이 무섭게 추격하는 형국입니다.

고가 스마트폰에서 과거와 같은 엄청난 성장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애플이 대화면폰을 만들면서 안드로이드 시장까지 잠식을 해나가고 있는 점도 부담입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잘 만들었지만 여전히 부족한 소프트웨어 경쟁력, 검증되지 않은 AP 엑시노스, 대량생산시 과연 양품을 얼마나 뽑아낼지 변수가 많습니다.


시장은 이미 판매 대박을 기대하고 있지만 5600만대 이하로 판매된다면 주가 상승은 쉽지 않습니다.

당분간 삼성전자는 쉬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갤럭시S6와 엣지는 제가 봐도 잘 만든 제품으로 보입니다.

디자인도 좋구요.

그러나 주가는 이미 반영하였다는 것을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반등시 비중축소후 판매량 확인후 재접근을 권유드립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삼성전자와 LG전자가 OLED 소송 전쟁을 마감하였습니다.

소송을 극적으로 취하하면서 발을 빼기로 한 모양새입니다.


OLED 말고도 세탁기, 시스템에어컨 등 4건에 대한 소송을 취하하기로 결정을 내렸습니다.

소송 규모가 아주 큰 편은 아니라서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하지만 OLED 부문에서는 삼성의 전략 변화가 감지됩니다.

그동안 TV에서는 사실 LG에게 많이 밀린게 사실입니다.

OLED TV에서 이미 LG는 상용화를 하였고 삼성보다 기술력도 앞서가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그동안 삼성이 시간벌기를 한 거죠.


OLED TV 시장은 정체인데 기술력은 아직 부족하니 시간을 번 것입니다.

그런데 이제 때가 익었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입니다.

갤럭시S6 출시와 엣지를 통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가능성을 보았기 때문에 OLED 투자가 하반기에 본격화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해묵은 소송과 논쟁을 끝냈고 본격적인 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소송의 종결은 OLED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 차원에서 긍정적입니다.

관련 기업인 테라세미콘, 비아트론, 에스에프에이에 대한 긍정적 의견을 지속 유지합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삼성전자가 의미있는 딜을 했다는 소식입니다.

2012년 미국에서 설립된 스타트업 기업인 루프페이를 인수했다고 하네요.


루프페이는 모바일 결제 솔루션을 제조하는 업체로 휴대폰에서 신용카드를 결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휴대폰에서 간편결제를 가능케하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애플의 애플페이와 경쟁할 업체라고 할 수 있는 거죠.

삼성전자의 최대 고민거리가 바로 소프트웨어 경쟁력인데 애플과 맞짱 뜰 수 있는 경쟁력있는 전자결제 업체를 인수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루프페이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말씀드릴게요.

현재 대부분 보급되어있는 신용카드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고 카드번호 입력없이 간편결제가 가능하고 22만개 매장과 제휴하고 있는 애플페이와 달리 미국의 천만개 매장과 제휴를 맺고 있고 1만개 이상의 카드가 사용가능(애플페이는 90개의 카드만 사용가능)한 상태입니다.


애플페이보다 더욱 경쟁력이 높다고 볼 수 있는 거죠.

물론 마그네틱 보안전송 기술을 기반으로 한만큼 국내에서는 리스크가 조금 있습니다.

국내 카드 시장은 마그네틱카드 사용은 이제 금지되었고 IC카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죠.

마그네틱이 아닌 IC카드에 적합한 솔루션 개발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이를 잘 해결하는 것이 숙제라면 숙제겠네요.


이번 삼성전자의 루프페이 인수를 통해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 경쟁력은 커질 것입니다.

갤럭시S6의 판매에도 분명 도움이 될 만한 호재입니다.


갤럭시 관련 부품주들의 주가에도 한동안 훈풍이 불 듯 합니다.

삼성전자와 루프페이의 시너지효과가 얼마나 발휘될지 잘 눈여겨 보시기 바랍니다.


------------------------------------------------------------

카페를 만들었습니다. 많이 놀러와 주세요 ^^


http://cafe.daum.net/allthatvalue


Posted by 이지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