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 버핏의 쉬운 주식 투자!

LG화학(051910)


2018917일 하나금융투자 보고서 참고

 


성큼 다가온 자동차용 중대형 전지의 흑자전환

 


1) 4Q18부터 중대형배터리의 흑자전환 시작

 

- LG화학은 9/14() 전지사업 관련 Analyst 간담회를 통해 4Q18부터 자동차용 중대형전지의 흑자전환 가능성이 한 층 높아졌음을 피력

 

- 매출 확대로 감가상각비/R&D 비용 등 고정비 회수비율이 높아졌고, 현재 60조원에 달하는 수주잔고 또한 추가적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음. Top-Tier업체로서의 위상 강화로 인해 Seller’s Market에서 수익성 기반의 선택적 수주 또한 가능 해진 것으로 추정


 

2) 중장기 수익성 강화를 위한 원가절감 노력 또한 지속

 

- LG화학은 중장기적인 수익성 강화를 위해 재료비 연동 수주를 추가적으로 늘리고 NCM 811, NCM 712(2020 ), NCMA(2022) 등 코발트 비중을 낮춘 하이니켈 배터리 개발과 적용 비중 확대를 지속해 나갈 방침.

 

- 공정 상에 있어서는 자동화 라인을 확대해 인건비를 줄여나갈 예정 생산속도/코팅속도 향상 등 생산효율 개선을 통해 단위당 CAPEX를 줄일 수 있는 라인도 개발 중


 

3) 화학사업은 지금이 바닥. 중대형전지 턴어라운드 기대 유효

 

- ABS, PVC, 합성고무 등 화학 사업의 주력제품은 2020년까지 증설이 제한적. 재고가 매우 낮고 증설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중장기 바닥은 지금

 

- 미중 무역분쟁에 따라 단기 업황은 둔화되었으나, 이로 인해 중국 중심의 가동률 조정이 나타나고 있기에 단기적으로 보더라도 추가적인 업황 둔화 가능성은 낮은 상황

 

- 바닥권에 근접한 화학 업황에 자동차용 중대형전지의 흑자전환 가능 성까지 감안하면 지금은 업종 내 주가 모멘텀이 부각될 수 있는 시점

Posted by 이지밸류

LG화학(2018713일 키움증권 보고서 참고)


 

1) 올해 2분기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상회 전망

 

- LG화학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7,017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7.8% 증가하며, 시장 기대치(영업이익 6,992억원)를 상회할 전망. 정보전자소재부문의 적자 지속 및 팜한농 실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초소재부문과 전지부문의 실적 개선이 예상되기 때문

-
기초소재부문 영업이익은 고가 나프타 투입에도 불구하고, 1) 전 분기 대비 수출주에 우호적인 환율 효과, 2) 옥탄올, BPA, 아크릴/SAP, 가성소다 등의 마진 개선, 3) 전 분기 설비 트러블에 따른 물량 측면의 기저 효과로 전 분기 대비 9.5% 증가한 6,975억원을 기록할 전망

 

- 전지부문 영업이익은 1) 원통형 소형 전지 증설(+1,500만셀/) 반영, 2) 소형 전지 판가 인상, 3) 중대형 전지(자동차/ESS) 판매 증가로 전 분기 대 비 901.9% 증가한 210억원을 기록할 전망

 

- 정보전자소재/팜한농/바이오부문은 1) 전방산업(LCD) 업황 부진, 2) 성수기 효과 소멸, 3) 연구개발비 증가로 전 분기 대비 이익 축소가 예상


 

2) 배터리/화학부문, 경쟁 업체 대비 과도한 저평가

 

- 중대형 전지 경쟁사인 CATL, Panasonic의 시가총액은 각각 31.1조원, 34.5조원으로 동사의 시가총액 24.3조원을 크게 상회하고 있는데 CATL, Panasonic의 올해 말 생산능력이 각각 23GWh, 33GWh이며, 동사의 올해 중대형 전지 생산능력도 작년 대비 80~90% 증가한 32~34GWh 수준으로 저평가

 

-  바스프는 약 11조원을 투자하여 중국에 신규 크래 커 100만톤과 아크릴산, EO, SAP, 아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옥소알콜 등 고부가 다운스트림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 위 프로젝트와 유사한 제 품군을 보유하고 있는 동사의 크래커 생산능력은 추가 증설을 통하여 올해 243만톤으로 증가될 전망


 

3) 3.8조원의 창사 최대 Capex 투입에 따른 내년 물량 측면의 기저 효과 발생 및 바이오부문 사업 영위 등을 고려할 경우 동사의 주가는 과도하게 저평가.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30,000원 유지


Posted by 이지밸류

[2차전지] 2016년 중대형전지 매출 본격화된다 - NH투자증권


LG화학은 르노, 폭스바겐 등 중대형배터리 공급처 다변화로 16년 본격적인 매출 성장 기대. 이는 중대형전지의 영업 손익 개선과 가치 재평가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 LG화학 2차전지 Supply-Chain 내 주목해야 할 종목으로 엘앤에프(양극활물질),리켐(전해액), 후성(전해질), 피엔티(Roll to Roll 장비) 제시



아우디 배터리 공급은 2016년~ 2020년 동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


− 전일(7/21) 보도된 아우디향 배터리 7조원 공급 계약액은 최근 이루어진 공급 계약뿐만 아니라 지난해 8월 첫 공급계약 이후 Xev(친환경차), P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에 사용되는 배터리와 마일드하이브리드 배터리 납품계약 등에 대한 언론의 추정 금액으로 보임


− 아우디뿐만 아니라 르노, GM 등 글로벌 완성차에 대한 배터리 공급계약이 증가하면서 LG화학의 중대형 전지 매출액은 15년 7,650억원에서 16년 1.3조원, 18년 3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하반기 이익 선전 예상. 중대형전지 가치 부각 예상


− 15년 이후 강화되는 환경 규제로 전기차 시장은 높은 성장 기대. IHS오토모티브 등은 세계 전기차 시장이 15년 약 210만대에서 17년 470만대, 20년 770만대로 판매량이 증가해 세계 자동차 시장 점유율 약 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 LG화학은 과거 GM볼트 중심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처를 16년 이후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 상위업체 르노, 폭스바겐, 상해기차 등으로 다변화할 계획


− LG화학 중대형전지 영업손익은 15년에도 적자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16년 xEV,

ESS(에너지저장 장치) 판매 확대 등으로 중대형전지 영업손익은 흑자 전환 기대. 



18년 동사 중대형전지 예상 매출액 약 3조원 중 xEV전지 2조원, ESS 1조원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 부문의 영업 가치는 4조원을 상회할 전망


− LG화학 2차전지 Supply-Chain 내 주목해야 할 종목으로 2차전지 양극활물질 소재업체인 엘앤에프(A066970)와 전해액과 전해질 생산업체인 리켐(A131100), 후성(A093370), 2차전지 장비 업체인 피엔티(A137400) 제시


Posted by 이지밸류

석유화학,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 이후는? (신한증권)


2Q15 석유화학 4사 합산 영업이익 1.1조원(+70.2% QoQ)로 컨센서스 상회

석유화학 4사(LG화학/롯데켐/금호석유/대한유화)의 합산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

비 +70.2% 증가한 1.1조원으로 전망된다. 특히 롯데켐, 대한유화 등 순수 납

사 크랙커(NCC) 업체들의 실적 개선이 돋보인다. PE/PP 등 주력 제품 스프레

드 개선과 유가 상승 효과(=재고 효과) 덕분이다.


3Q15 이익 모멘텀은 약화되나 구조적 호황(=제한적인 공급 증가) 국면 지속

2Q15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2H15 시황 악화 우려가 존재했다. 상반기 이익

증가가 역내 정기보수 집중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주장 때문이다. 하지만

3Q15 들어서도 (LD)PE/납사 스프레드는 톤당 800달러로 전분기(805달러/

톤)에 그다지 뒤지지 않는다. 여전히 역사적 고점 수준이다.


이는 합성수지 중심의 석유화학 시황 호조가 2015년 상반기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임을 의미한다. 중국 경기 부진(수요 둔화), 공급 증가 우려(중국

석탄화학 설비, 북미 Shale Gas 기반 에탄 크랙커)로 인해 역내 석유화학 설비

(납사 크랙커) 투자가 위축되었다. 유가 하락(납사 크랙커 원가 경쟁력 강화)까

지 감안하면 향후 2~3년간 석유화학 시황 호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물론 3Q15 이익 모멘텀은 다소 약화될 전망이다. 석유화학 4사의 합산 영업이

익은 전분기 대비 -11.3% 감소하겠다. 유가가 전분기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석유화학 제품들의 판가 역시 하락하겠다. 역내 정기보수 감소(=공급 증가)를

감안하면 주요 제품들의 스프레드가 다소 축소될 수 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 유지, 최선호주로 LG화학, 대한유화 제시.

2Q15 실적이 단기 피크일 수 있지만 어닝 시즌 이후 석유화학 업체들의 주가

가 약세 전환될 가능성은 낮다. 공급 측면에서만 놓고 보면 석유화학 시황은 분

명 향후 2~3년간 좋다. 공급 증가(에틸렌 기준 +500만톤/년 미만)가 수요 증

가(+500만톤 이상)를 따라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향후 추가적인 시황 개선의 폭은 수요(=중국 경기)에 달려 있다. 그리스

사태, 중국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등 일시적인 충격은 있겠지만 중국 경기는

3Q15를 저점으로 회복되겠다. 1H15에는 수요 부진(=중국 경기 부진)에도 불

구하고 석유화학 업체들의 이익이 좋았는데 2H15 이후에는 수요도 회복된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최선호주로 LG화학, 대한유화를 제시한다.



Posted by 이지밸류

LG화학이 중국 난징 진롱과 둥펑 상용차에 배터리 공급을 합니다.

시장 약세에도 주가가 이러한 재료로 강세를 보이네요.


지금 LG화학은 중국 시장 1위 기업입니다.

수주물량만 20만대이고 고객수도 가장 많습니다.


SUV,세단에 이어 전기차 버스까지 배터리를 수주하면서 포트폴리오도 완벽하게 구축이 되었습니다.


중국 시장은 전기차분야에서 미국 다음으로 성장이 빠른 국가입니다.

LG화학이 이 중국 시장을 선점한만큼 유리한 고지를 확보한 상태입니다.


LG화학의 실적도 긍정적이고 전기차 수주 모멘텀까지 있어서 단기적으로 좋은 주가 흐름이 전망됩니다.

비록 시장이 메르스 문제로 고전하고 있지만 그걸 이겨내고 상승을 이어가리라 판단됩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LG화학이 실적 발표를 했습니다.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10%나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LG화학은 석유화학 부문과 정보소재 부문으로 나뉘어있는데 매출 비중은 석유화학이 70%, 정보소재가 30% 정도 됩니다.

석유화학은 50%가 넘게 성장했고 2차전지가 포함된 정보소재도 30%가 넘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물론 지난해 1분기 실적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도 어는 정도 작용했습니다.

하지만 업황이 회복되는 점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원유 가격 하향안정화로 나프타 가격은 급락한 반면 주요 제품인 에틸렌 가격은 급등하면서 마진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지금도 마진은 꾸준히 오르고 있어서 2분기도 실적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유가가 오히려 이제는 급등하는게 악재입니다.

유가 급등시 마진이 줄어드니까요.

하향 안정화만 지속되면 2분기 실적도 매우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유럽의 경기 회복, 중국의 부양책 등 석유화학 업종의 강세는 좀더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LG화학 30만원까지는 충분히 상승 여력이 있어 보입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5월달에 킨텍스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전기차 행사가 열립니다.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 대회 및 전시회(EVS28)입니다.


한국에서 두번째로 개최되는 대회로 1969년부터 시작된 굉장히 오랜 전통을 갖고 있는 학술대회입니다.

세계 150여개 업체가 참여할 것으로 보이는데 현기차, GM, 르노, BMW, 벤츠, LG그룹 등 다양한 회사들이 참여를 신청하였습니다.


전기차 관련주들이 그간 상당히 부진했습니다.

유가 급락 부담과 전기차 판매 부진 등이 원인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주가는 바닥권이고 점차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시기입니다.


위에 언급한 대회를 계기로 시장의 관심이 부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기다 중국의 환경 규제 강화, 세계 각국의 보조금 정책 강화로 전기차 판매량은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삼성SDI, LG화학,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에 대한 관심이 요구됩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LG, 지주회사의 대명사격인 LG가 서서히 바닥에서 탈출을 할려는 모습입니다.

SK와 더불어 정말 왕따 지주회사중의 하나죠.


지주회사 주가가 상승할려면 역시 자회사 실적이 좋아져야 합니다.

자회사 실적으로 먹고 사는게 지주회사니까요.


LG의 주력 자회사는 LG전자와 LG화학입니다.

LG화학은 요즘 분위기 좋습니다.

유가하락으로 비용은 감소하고 제품 가격은 올라서 이익이 크게 개선될 것입니다.

거기다 전기차 시장 확대 수혜도 기대됩니다.


반면 LG전자는 분위기가 좋지 않습니다.

TV 사업부가 경쟁 심화로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고 스마트폰 쪽에서도 삼성에 밀려 고전이 예상됩니다.

G4가 얼마나 팔리지는 모르지만 초반 마케팅, 이슈 경쟁에서 갤럭시에 완전히 밀리는 모습입니다.

하반기에 전략 스마트폰이 출시되니 거기에 기대를 해야할 듯 합니다.

물론 이미 주가에는 반영된 점은 긍정적입니다.


비상장 자회사중에서는 LG실트론이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소폭 이익 증가가 기대됩니다.

서브원도 실적 턴어라운드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LG는 결국 LG전자 실적이 언제 살아나느냐가 관건입니다.

LG의 G4 얼마나 판매 선방을 할지가 관건입니다.

주가는 바닥입니다.

강력한 모멘텀은 없지만 저평가 매력은 충분한 만큼 점진적 상승을 기대해봅니다.




Posted by 이지밸류


(에틸렌 가격과 마진)


화학업종 강세의 이유는 위 그림을 보면 답이 나와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화학주를 유가 급락의 피해주로 인식하는데 물론 맞습니다.


유가가 하락하면 제품가격이 크게 떨어지면서 마진이 줄어드니까요.

실젝 지난해 하반기 에틸렌 가격이 떨어지고 마진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그런데 올해 초부터 에틸렌 가격이 급등하는데 원재료인 원유가격은 하락하면서 마진이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8년만의 최대치를 돌파하는 모습입니다.

유가는 하락인데 제품가격은 상승하는 아주 이상적인 구조가 완성되고 있습니다.

유가 하락이 이제는 악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또한 그동안 값싼 셰일가스에서 나오는 에탄을 이용해서 에틸렌을 제조하던 미국업체들의 매력이 없어져버렸습니다.

몇년간 한국 기업들은 비싼 원유에서 나오는 나프타를 이용해서 에틸렌을 제조했는데 유가가 급락하면서 비용이 절감된거죠.

셰일가스 기반의 화학회사들은 가스 가격은 그대로니 변함이 없구요.


한국 업체들이 이제 매력적인 상황이 되버린것입니다.

전세 역전입니다.


롯데케미칼, 대한유화의 주가 급등은 바로 이러한 배경에 있습니다.

화학업종 적극 비중확대 전략입니다.

여전히 주가 상승폭이 미진한 코오롱인더, LG화학 비중확대 의견입니다.




Posted by 이지밸류